Kiosk Berlin archival pigment print, size variable to cover the whole wall, 2022

After Ullrich's images Archival pigment print with silver shining color frame each 33x44cm 2022

Skirt skirt blue Archival pigment print 80x100cm 2022 

passing through Archival pigment print each 60x45cm 2022 
passing through Nr2 Archival pigment print each 60x45cm 2022 

Blurred image and faded memory Archival pigment print 60x45cm 2022

Melting rah-rah Archival pigment print 80x100cm 2022

<post(er) image>

 ORDER. turn over and twist it to see 주문. 보기위해 비틀고 뒤집어 볼 것 Archival pigment print, unsized, 2022

이 프로젝트는 10년 전 촬영하고 미공개로 남겨두었던 사진 10점을 대형 포스터로 인화해, 베를린 크로이츠베르크(Kreuzberg)의 길거리 8곳 벽면에 부착하는 것으로 시작되었다. 베를린 도심의 포스터 사이에 나의 이미지를 개입시키고, 그것이 도시 환경 속에서 어떻게 변모하고 소멸해 가는지를 기록함으로써, 동시대 사진(이미지)의 의미를 재고하고자 했다. 한 장의 사진은 수많은 도시의 손길에 의해 형태를 바꾸며 사라졌고, 처음의 의도와는 다른 이야기들을 품어갔다. 사진-이미지가 겪은 45일간의 여정은 사진의 물리성과 공공성, 기록과 오역, 그리고 이미지의 공동 창작/공유화 가능성에 대한 질문으로 이어졌다.
...
<POST-ER〉는 총 네 개의 상호 연결된 시리즈로 구성된다. 각각은 독립적인 작업이지만, 공통된 접두어인 <post(er) - >를 통해 하나의 유기적인 서사로 점진적으로 연결된다. 가장 먼저 진행된 <post(er)image>는 포스터가 사라지기까지의 45일 동안의 물리적 변화에 대한 기록이다. 포스터의 변화는 통제할 수 없는 수많은 사건들과 우연에 의해 진행되었다. 실제로 나의 포스터 위로 쿠르드족의 시위 전단이 붙자, 또 러시아-우크라이나전쟁 발발 당시에는 누군가 포스터 위에 우크라이나 국기를 그려놓자 그것을 보고 항의하거나 포스터를 찢으며 이미지에 물리적으로 개입했다. 포스터가 부착된 직후부터 시간이 흐름에 따라 그것이 바래고, 간섭받고, 찢기고, 결국 소멸되기까지의 일련의 과정을 통해 이미지가 놓인 환경, 사회적 사건, 행인들의 몸짓 등을 읽어낼 수 있었다. 이 사건들을 통해 공공장소에서의 이미지가 단일한 의미를 지닌 대상이 아니라, 사회적 사건에 의해 계속해서 의미가 재구성되는 장임을 확신하게 되었다. 
<post(er) image> 
+ DAY 1 at noon on 6 June 2022 
나는 공개된 적 없는 10년 전 작업 10점을 포스터로 만들어 베를린 코티지역 8군데에 붙였다. 
I printed out 10 posters using my 10-year-old photo-works and posted them up at 8 spots in the Kotti area.
+ DAY 1 (after 2 hours) at noon on 6 June 2022 
콧부서토어역 8번출구 앞에 붙인 2개의 포스터는 붙인지 2시간만에 다른 포스터에 의해 가려졌다. 
The two posters near the E exit of U8 Kotbussor tor disappeared by covering other posters within 2 hours.
+ DAY 6 11 June 2022 
Erkelenzdamm에 붙인 내 포스터 위에 베를린에서 열리는 시위를 알리는 작은 전단들이 붙기 시작했는데, 터키에 대항하는 쿠르드사람들의 데모시위전단이 붙은날 그것을 내가 붙인 것으로 오해한 터키할아버지로부터 거센 항의를 받는 일이 있었다.  There were some stains of small flyers on the poster at Erkelenzdamm, and there was a person who was angry at me about a flyer over my poster on Oranien Platz.
...
이 일을 계기로 나는 내 포스터 위에서 무언가 벌어지고 있음을 느꼈다. 
이날 이후 내 포스터 위에 붙는 또 다른 포스터와 전단을 따라 베를린 사회를 구경하기 시작했다. 
<post(er) society> 
포스터 주변에서 일어나는 사회적, 문화적 간섭을 추적한<post(er)society>는 포스터 위에 덧붙여진 전단지, 겹쳐 붙은 광고, 낙서, 훼손 자국 등을 추적하여 기록한 사진이다. 여성의 권리 신장을 요구하는 시위, 각 국가나 민족의 현안을 알리는 집회, 에너지 비용 급등에 항의하거나 공공임대주택 확충을 촉구하는 시위 등 베를린 현지의 여러 사회적 현안들을 이야기하는 도시의 목소리들이 있었다. 도심 한복판에 내걸린 나의 이미지가 시민들에 의해 변형·훼손·보강의 행위가 반복되는 게시판이자 낙서와 찢긴 자국의 캔버스로 변모해갔다. 
이 과정에서 구글번역기를 이용해, 한 장의 포스터를 매개로 정치적 시위 메세지와 소비재 광고가 한 자리에 뒤엉키고 항의의 낙서와 유머러스한 스티커가 한 표면에 공존하는 상황을 해석해보고자 했는데, 이는 오히려 오히려 도시 시각문화의 혼성성과, 언어적·문화적 오역의 한계를 드러내는 결과로 이어졌다.
+ DAY 45 18 July 2022
2군데에 남아있던 작은 포스터 조각들도 모두 없여졌다. 45일만에 모든 포스터가 사라졌다. 
 Small pieces of the posters in 2 spots also disappeared.
Finally, everything is gone. It had been 45 days 
...
나의 포스터가 사라진 자리엔 살이붙어 더 커다랗게 변한 포스터 덩어리가 남아있었고, 나는 이것들을 수거해 베를린테크닉뮤지엄에서 보았던 도시를 구성하기 위한 기술들이 적용된 구조물을 만들기 시작했다. 포스터에는 그 도시에서 일어나는 모든일들이 포함되어 있었고, 그것은 다시 그 도시를 상징하는 무엇이 되었다. 그리고 베를린을 떠나기 전 나는 이 도시들은 분해하여 5cm 크기의 작은 조각으로 잘라 압축된 형태로 재구성했다.  In the places where my posters disappeared, a chunk of poster that had grown and grown larger remained. I collected them and began to build city structures that I had seen at the Berlin Technique Museum. The poster included everything that happened in the city, and it became something that symbolized the city. And before leaving Berlin, I disassembled these cities, cut them into small pieces about 5 cm in size, and reconstructed them in compressed form.
<post(er) village> 
나의 시선을 포스터가 붙어 있던 도시 전체의 맥락으로 확장하고자 했다. 45일간 겹겹이 붙었다 떼어진 포스터들은 그 기간 베를린 도시에서 벌어진 모든 일들의 축적이었다. 나는 이 낱낱의 잔해들을 조합하여, 작은 도시 구조 입체물을 만들고, 이 구조물은 다시 사진으로 기록했다. 이때 이는 현실의 도시를 모사한 모델, 즉 도시를 다시 이미지로 치환하고자 한 시도였다. 최종적으로 이 구조물의 원본은 클램프로 고정되어 압축되는데 이는 동시대 이미지의 물리적, 심리적 환경의 반영이기도 하다. 

<post(er) village> Archival pigment print 36x45cm 2022

<post(er) village> Archival pigment print 36x45cm 2022

<post(er) village> Archival pigment print 36x45cm 2022

<post(er) village> Archival pigment print 36x45cm 2022

<post(er) village> Archival pigment print 36x45cm 2022

<post(er) village> Archival pigment print 36x45cm 2022

<post(er) village> Archival pigment print 36x45cm 2022

<post(er) village> Archival pigment print 36x45cm 2022

<post(er) village> Archival pigment print 36x45cm 2022

<post(er) village> Archival pigment print 36x45cm 2022
Untitled poster pieces, wood clamp 20x25x5cm 2022
...
바닥돌 <post(er) stein1)>은 베를린에서 잃어버린 이미지들을 그냥 보내지 않기위해 보도블럭에 사용되는 돌을 캐스팅하고, 포스터의 색상을 반영하여 그 자리에 박아둔 작업이다. 마치 슈톨퍼슈타인(Stolperstein)처럼, 무언가가 사라진 자리를 지시하는 기억의 장치로 기능하길 바랬다. .
<post(er) stein>, which is left in the place where the posters disappeared

2024. 05 포스터는 사용자 정의할 수 있습니다 at 갤러리더씨 

후원/협력 예술경영지원센터, 갤러리더씨

Back to Top